본문 바로가기
반도체 이야기와 산업트랜드

[반도체이야기] 한국 팹리스 업계에서 왜 아날로그 설계 엔지니어가 귀할까?

by Rainbow Semicon 2025. 7. 9.

반응형

한국 팹리스 업계에서 왜 아날로그 설계

📌 목차

  • 아날로그 설계란 무엇인가?
  • 디지털 전성시대에도 아날로그가 중요한 이유
  • 한국 팹리스 시장의 구조와 현실
  • 아날로그 인력의 공급 부족, 왜 생기는가?
  • 아날로그 엔지니어가 받는 대우
  • 글로벌 트렌드와 국내의 괴리
  • 아날로그 설계의 미래, 그리고 팁

아날로그 설계란 무엇인가?

아날로그 설계는 전압이나 전류처럼 연속적인 신호를 다루는 회로를 설계하는 엔지니어링 분야입니다. 전력관리(PMIC), 센서 인터페이스, 오디오 증폭기, RF 회로 등 일상에서 필수적인 아날로그 회로는 스마트폰, 자동차, 웨어러블 기기, IoT 센서 등에 필수적으로 들어갑니다. 디지털 회로가 0과 1만 다룬다면, 아날로그는 이 세상의 ‘모든 실수값’을 다룬다는 점에서 훨씬 복잡하고 섬세합니다.


디지털 전성시대에도 아날로그가 중요한 이유

많은 사람들이 ‘반도체는 디지털 중심 산업’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센서로부터 물리 데이터를 받고, 이를 처리한 후 다시 모터, LED, 스피커 등 물리 세계에 전달하는 과정은 모두 아날로그 회로가 담당합니다. 아무리 디지털이 발전해도 그 입출력은 아날로그이기에, 아날로그 설계는 시스템 전체에서 ‘물리 세계와 디지털 세계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합니다. 이 때문에 아날로그 설계 엔지니어는 디지털 못지않게, 아니 그 이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한국 팹리스 시장의 구조와 현실

한국 팹리스 산업은 주로 디지털 중심으로 성장해 왔습니다. 시스템 반도체 정책이나 투자 유치도 대부분 MCU, SoC, 디스플레이 IC 같은 디지털 칩 중심이었고, 그만큼 아날로그 전문 기업은 소수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전기차, 전력반도체, 헬스케어 센서, 보안 카메라 등의 수요가 폭증하면서 아날로그 기술의 중요성이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PMIC, ADC/DAC, LDO, Op-Amp 등 아날로그 부품은 고부가가치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고, 이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엔지니어는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입니다.


아날로그 인력의 공급 부족, 왜 생기는가?

아날로그 회로 설계는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회로 해석 능력, 노이즈 분석, 공정 특성까지 고려해야 하고, 시뮬레이션과 실측의 오차를 이해하는 직관력도 요구됩니다. 학교 커리큘럼에서는 대체로 디지털 논리설계에 집중되다 보니, 아날로그 경험을 갖춘 신입은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그나마 대학원에서도 RF나 디지털 쪽으로 연구가 편중되며, 결국 산업계에서는 “제대로 가르친 아날로그 인력이 없다”는 말이 자주 나옵니다.


아날로그 엔지니어가 받는 대우

그렇다 보니, 아날로그 설계 인력은 국내외에서 몸값이 높습니다. 삼성전자, ADI, TI, Skyworks, Analog Devices 등 글로벌 기업들도 이들을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입니다. 국내 팹리스 기업들도 좋은 아날로그 엔지니어를 확보하려면 디지털보다 훨씬 높은 연봉을 제시해야 하며, 일부 기업은 인센티브 외에 스톡옵션, 유연근무제 등 파격 조건까지 제안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아날로그 회로 하나가 칩의 전체 품질과 수율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트렌드와 국내의 괴리

해외에서는 아날로그 반도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일찍부터 아날로그 설계에 투자해 왔습니다. 특히 미국의 TI, ADI, 일본의 ROHM, 리니어텍 등은 오랜 전통의 아날로그 중심 기업입니다. 반면 한국은 여전히 디지털 기반 설계자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아날로그 회로 블록을 외주 IP로 구매하거나, 중국·대만 업체와 협업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로 인해 원천 기술 확보가 어렵고, 제품 차별화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아날로그 설계의 미래, 그리고 팁

앞으로 전기차, 배터리 BMS, 자율주행용 센서, 인체신호 측정기기 등 아날로그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입니다. 반도체 시스템 전체를 이해하고 싶은 학생이나 직장인에게는 아날로그 설계 역량을 갖추는 것이 확실한 경쟁력이 될 수 있습니다. 관련 진로로는 회로설계 외에도 레이아웃(Lay-out), SPICE 시뮬레이션, 테스트 및 검증 등도 있으며, Cadence, Synopsys, Mentor 등 EDA 툴 숙련도도 중요합니다.


✍ 마무리하며

아날로그 설계 엔지니어는 한국 팹리스 업계에서 보석과 같은 존재입니다. 단순히 공급 부족 때문이 아니라, 아날로그 회로가 시스템을 지탱하는 필수 축이며, 고도의 기술력과 경험이 요구되는 분야이기 때문입니다. 아직 이 시장이 과소평가되고 있다면, 지금이 진입할 최고의 타이밍일지도 모릅니다.

 

 

 

 

[반도체이야기] DEEPX 딥엑스 – 대한민국 AI 반도체 혁신 리더의 모든 것

DEEPX는 “AI for Everyone & Everywhere”라는 비전 아래, 저전력·초고성능·초저비용 AI 반도체 개발을 주도하며 대한민국 AI 반도체 선두주자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2018년 설립 이후 300건 이상의 특허

rainbowsemicon.com

 

 

[반도체이야기] SK하이닉스 직무별 업무소개와 취업 준비 꿀팁 총정리

1. SK하이닉스 취업, 왜 이렇게 인기일까?SK하이닉스 취업은 매년 반도체 취업 준비생들 사이에서 1순위 목표로 꼽힙니다. 이유는 명확하죠. SK하이닉스 직무는 안정성과 성장성을 두루 갖추고 있

rainbowsemicon.com

 

 

[반도체이야기]삼성 시스템LSI 사업부 취업을 위해 무엇을 알아야 할까?

삼성 시스템LSI 사업부에 취업하고 싶다면, 어떤 직무가 있는지,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이 글에서는 삼성 시스템LSI의 주요 직무와 핵심 포인트, 취업 꿀팁까지 빠짐없

rainbowsemicon.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