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도체 이야기와 산업트랜드180 [반도체이야기] LWIR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홈 활용: 온도감지로 더 안전하고 똑똑한 집 스마트홈 시장이 성숙해지면서, 단순 음성제어나 원격제어를 넘어 LWIR 센서를 이용해 ‘보이지 않는 열’까지 감지하는 기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LWIR 센서가 스마트홈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우리 일상을 어떻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지 실제 사례와 경험을 통해 꼼꼼히 분석해볼게요.1. LWIR 센서란? – 스마트홈의 시작점LWIR 센서는 장파적외선(8–12μm)을 감지해 사람이나 물체의 온도 분포를 영상화하는 기술입니다. 일반 열화상보다 가격은 낮고, 비냉각 소자 방식으로 실내외 환경에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스마트홈 IoT에 적합합니다. 집 안 구석까지 눈에 안 보이는 열까지 알려주니, 기존 보안 카메라보다 훨씬 똑똑해지죠. 2. LWIR 센서 활용 사례: 스마트홈 속 혁신 기능들2.. 2025. 6. 24. [반도체이야기] IR 열상센서 기술을 이용한 방산기술: 야간·악천후 정밀 대응의 핵심 IR 열상센서(IR thermal sensor)는 적외선을 감지해 물체의 온도를 영상을 통해 표현하는 기술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IR 열상센서를 활용한 방산기술을 중심으로, 실제 경험과 사례를 통해 깊이 있게 다뤄보겠습니다.1. IR 열상센서란 무엇인가?IR 열상센서는 물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열) 신호를 센서가 감지해 영상으로 바꾸는 장치입니다. 제가 처음 IR 열상센서를 접한 건 산업용 점검 장비였는데, 야간이나 연무 속에서도 성능이 뛰어나 방산 전장에도 널리 적용되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열악한 환경을 강력하게 뚫는 이 기술이야말로 야간·악천후 전투의 핵심입니다.2. 방산 분야에서 IR 열상센서의 주요 활용 사례2-1. 열상 조준경과 휴대용 화기소총이나 기관총에 장착되는 IR 열상센서 기반 조준경.. 2025. 6. 24. [반도체이야기] 우주에서의 눈, 중장파·장파 적외선 탐지 기술 어디까지 왔나? 위장된 목표도 찾아내고, 극초음속 미사일도 감시하며, 심지어 외계 은하까지 관측하는 기술. 바로 중장파 적외선과 장파 적외선을 활용한 탐지 기술입니다. 저는 최근 이 기술에 대한 연구 논문을 접하고 너무 흥미로워서, 오늘은 이 내용을 여러분과 공유해보려 합니다.요즘 위성 기반 원격탐사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중장파 적외선 탐지기와 장파 적외선 탐지기의 우주 응용이 실제로 어디까지 와 있는지, 앞으로 어떤 기술적 과제가 있는지를 깊이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중장파·장파 적외선 탐지 기술이란?일반적으로 우리가 말하는 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고, 열을 감지할 수 있는 전자기파입니다. 이 중 **중장파 적외선(MWIR)**은 약 3~5µm, **장파 적외선(LWIR)**은 약 8~12µm 대역을 의미.. 2025. 6. 24. 소니이미지센서IMX479 출시 배경 및 혁신 포인트 자동차용 LiDAR 센서의 판도를 바꿀 소니이미지센서IMX479는 Sony Semiconductor Solutions가 2025년 가을 출시 예정인 stacked dToF SPAD 깊이 센서입니다. 소니이미지센서IMX479는 3×3 SPAD 픽셀 단위를 최소 측정 요소로 사용하며, 520개의 dToF 픽셀을 통해 고해상도와 고속 처리를 동시에 제공합니다. 특히 20fps의 프레임 속도는 동급 최고 수준으로, 자율주행과 ADAS 시스템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소니이미지센서IMX479 주요 특징고속·고해상도 측정 능력소니이미지센서IMX479는 BSI(back‑side illuminated) 구조와 Cu‑Cu 적층 기술을 결합하여 고해상도 520 픽셀과 고속 20fps 프레임 속도를 실현했습니다.정밀한 거리 인.. 2025. 6. 24. 자동차 전장 시스템의 핵심, LIN 통신이란? LIN 통신이란? 간단한 개념부터 이해하기자동차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다양한 전자 시스템들이 차량에 도입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서로 소통하며 작동해야 하기 때문에 '통신 방식'이 중요해졌죠. 그중에서도 비용 효율적이고 간단한 구조를 갖춘 통신 방식이 바로 LIN 통신입니다.LIN 통신(Local Interconnect Network)은 저속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주로 자동차의 비중요 영역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창문 모터, 좌석 조절 장치, 와이퍼, 실내 조명 제어 등 상대적으로 응답 속도가 빠르지 않아도 되는 부분에 LIN 통신이 적용됩니다. LIN 통신은 왜 자동차에 필수적인가?많은 분들이 CAN 통신만 알고 계시지만, 실상은 차량 내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이 서로 역할을 나눠서 작동합니.. 2025. 6. 23. 전기차에서 Voltage Regulator가 중요한 이유 전기차의 핵심 부품, Voltage Regulator란?전기차(EV)는 배터리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만큼,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때 꼭 필요한 부품이 바로 Voltage Regulator입니다. Voltage Regulator는 말 그대로 전압을 조절하고 안정화하는 장치로, 전기차 내부의 다양한 전자기기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예를 들어,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조명, 센서, 그리고 ECU(전자제어장치) 등은 모두 일정한 전압을 필요로 합니다. 만약 전압이 불안정하다면 오작동이 생기거나 심지어 고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도 실제로 오래된 전기차를 운행할 때 Voltage Regulator 문제로 차량 대시보드의 센서가 오작동했던 경험이 있었습니다... 2025. 6. 23.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