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반도체 이야기와 산업트랜드184

[반도체이야기] 하늘 위를 읽는 눈, 드론과 반도체 기술이 그리는 새로운 전장 한때 취미용 장난감으로 여겨졌던 드론은, 이제 기술의 최전선에서 움직이는 ‘전장의 눈’이 되었다. 단순히 날아다니는 기계가 아니라, 정찰하고 감시하고, 심지어 타격까지 수행하는 다기능 무인항공체로 진화하고 있다. 이 드론이 실시간으로 세상을 읽을 수 있는 이유는 바로 그 안에 들어 있는 정밀한 반도체 기술 덕분이다. 특히 야간이나 안개, 연기 속에서도 목표물을 식별할 수 있는 열화상 카메라는, 전장을 읽는 드론의 눈 역할을 하며 핵심 기술로 자리잡았다. 그리고 그 열화상 카메라의 중심엔 고감도 적외선 센서 반도체가 숨어 있다. 열화상 기술은 적외선(IR) 파장을 감지해 영상으로 전환해주는 기술로, 센서가 사람이나 사물에서 나오는 열을 감지해 온도 차이를 이미지로 보여준다. 이 기술은 비냉각형 센서.. 2025. 10. 12.
2나노 경쟁’ 본격화…한국 반도체, 기술 초격차 전략 시급 인텔이 세계 최초로 2나노미터(㎚)급 공정인 18A를 기반으로 양산을 시작하면서 글로벌 반도체 경쟁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이에 따라 한국 반도체 산업의 기술 전략과 공급망 구조, 시스템 반도체 육성 방향 등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2나노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인텔은 지난 9일(현지시간) 미국 애리조나주에서 2나노급 공정인 '18A' 기반 프로세서 ‘팬서 레이크(Panther Lake)’의 양산을 공식 발표했다. 이는 전 세계 주요 반도체 기업 중 최초의 2나노 공정 양산 선언으로, 향후 기술 주도권 확보 경쟁에 중대한 이정표로 평가된다.인텔은 이번 공정에 ‘게이트 올 어라운드(GAA)’ 구조를 도입하고, 향후에는 ‘후면 전력 공급(BSPDN)’ 및 ‘하이브리드 본딩’ 기.. 2025. 10. 10.
[반도체이야기] 중국의 반도체 굴기, 미국의 견제… 그 사이에 낀 한국 반도체의 미래는? 중국의 반도체 투자 확대 – '반도체 굴기'는 계속된다최근 몇 년간 중국은 자국의 기술 자립을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반도체 굴기"를 적극 추진해 왔습니다. 특히 미국의 제재 이후, 중국 정부는 반도체 산업을 국가 안보 차원에서 접근하며 천문학적인 금액을 쏟아붓고 있습니다. 실제로 2023년부터 시작된 대규모 국유 펀드 3기 운영이 시작되며, 수십조 원 이상의 자금이 반도체 설계, 장비, 소재 기업에 투입되고 있습니다.과거 중국의 반도체 기술은 선진국에 비해 다소 뒤처졌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화홍반도체, SMIC 등 중국 내 반도체 기업들이 빠르게 기술 격차를 좁히고 있으며, 일부 파운드리 생산에서는 7나노 공정도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 검증된 상용화 수준은 아니지만,.. 2025. 10. 9.
[반도체이야기] 중국의 좀비 팹, 그 실체와 반도체 산업의 그림자 중국 반도체 산업의 야심, 그리고 그 이면중국은 지난 10여 년간 '반도체 자립'이라는 국가적 목표 아래 막대한 자금을 투자해 왔습니다. 미국의 기술 규제와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속에서, 자국 내에서 직접 반도체를 설계하고 제조하는 역량을 확보하려는 시도는 당연한 수순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좀비 팹’(Zombie Fabs)**이라는 의외의 부작용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는 중국 반도체 산업이 단순히 자금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복합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좀비 팹이란?좀비 팹은 건설은 시작되었지만 실제로 생산되지 않는 반도체 공장을 뜻합니다. 겉보기에는 멀쩡한 팹이지만, 내부에는 핵심 장비가 없거나, 인력과 기술이 부족해 가동이 불가능한 상태죠. 중국 반도체 업계에서는 이러.. 2025. 9. 1.
[중국산업이야기] 중국, 순수 전기차 대신 하이브리드로 급선회한 이유 최근 중국 자동차 산업이 놀라운 방향 전환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때 세계 시장을 순수 전기차(BEV)로 석권하려 했던 전략이 이제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중심으로 급속히 이동하고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 중국의 하이브리드차 수출이 전년 대비 210% 폭증한 반면, 순수 전기차 수출 증가율은 40%에 그쳤습니다. 이 변화는 단순한 일시적 전술이 아니라,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현실을 반영한 중국 전기차 전략의 새로운 국면이라 할 수 있습니다.유럽에서 폭발적으로 늘어난 중국 하이브리드 수입중국승용차협회 자료에 따르면 유럽에서의 중국산 하이브리드차 수입은 무려 551% 증가했습니다. 반면 순수 전기차는 오히려 2% 줄어드는 대조적인 결과가 나타났습니다.이는 유럽연합이 중국산 BEV에 대해 추가 관세.. 2025. 8. 20.
[반도체이야기] 미국 반도체 기업 Top 5와 한국의 협업 기회 세계 반도체 산업은 미국과 아시아 국가들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미국은 설계, 장비, IP(지식재산권) 분야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어요. 오늘은 미국 반도체 기업 Top 5를 살펴보고, 대한민국이 이들과 어떤 방식으로 협업할 수 있을지 이야기해 보겠습니다.1. 인텔 (Intel)강점: 세계 최대의 종합 반도체(IDM) 기업. CPU, GPU, FPGA, 통신 칩, 그리고 파운드리 서비스까지 다루며 오랜 역사와 기술력을 보유.최근 전략: TSMC에 밀린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을 되찾기 위해 “IDM 2.0” 전략을 추진 중. 미국·유럽에 대규모 투자 진행.한국과 협업 가능성:삼성전자와의 파운드리 경쟁 구도가 있지만, 반대로 첨단 공정 협력이나 EUV 장비·소재 협업 기회가 있음.한국 IT .. 2025. 8.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