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반도체 강자 **엔비디아(NVIDIA)**는 전 세계 기술 생태계를 이끄는 중심 기업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삼성전자·SK하이닉스를 넘어,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엔비디아와 전략적 협력 관계를 맺거나 높은 협업 가능성을 가지고 있죠. 지금부터 네이버 클라우드, 모빌테크, 크래프톤, Nota AI, 메디컬IP 등의 기업과 엔비디아 간 협력 사례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네이버 클라우드 – 주권 AI 구축을 위한 전략 파트너
네이버 클라우드는 엔비디아와 협력하여 ‘주권 AI(Sovereign AI)’ 인프라를 구축 중입니다. 2025년 GTC 행사에서 정식 발표된 이 제휴는 단순 GPU 도입을 넘어서, 한국에 최적화된 클라우드 AI 플랫폼 구성을 목표로 합니다. 네이버의 대규모 한국어 모델 ‘HyperClova X’ 학습 및 추론은 엔비디아의 H100, B100 GPU로 수행되며, 양사가 데이터센터 설계, AI 응용기술 공동 개발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 협업은 단기적인 기술적 제휴를 넘어, 한국이 글로벌 AI 주권을 확보하는 데 중대한 의미를 갖습니다. 특히 네이버는 검색, 쇼핑, 웹툰 등에서 축적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체 AI 모델을 구축해왔기 때문에, 엔비디아의 하드웨어와의 결합은 단순한 처리 성능 향상 그 이상의 전략적 가치를 지닙니다. 추후 동남아, 일본 등 아시아 시장 진출 시에도 엔비디아와의 공동 인프라 운용이 큰 강점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모빌테크 – 옴니버스 기반 디지털 트윈 협업 선두주자
모빌테크는 엔비디아의 Omniverse 플랫폼과 실시간 연동되는 3D 공간 데이터를 제공하는 국내 유일 기업입니다. 이 회사는 자율주행 지도, 스마트시티 시뮬레이션 등에서 필요한 고정밀 3D 데이터를 수집·가공하여 디지털 트윈 기반의 다양한 프로젝트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CES 2025에서 엔비디아와 공동 부스를 운영하며 그 협업 범위를 공식화했고, 현재는 서울, 판교, 세종 등 실제 도시 공간의 실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Omniverse에서 시뮬레이션을 구축 중입니다. 이 데이터는 단순한 지도 정보가 아니라, 인도폭, 교차로 구조, 표지판 위치 등 현실의 미시 정보를 그대로 반영한 정밀 시뮬레이션을 가능케 합니다. 모빌테크는 향후 공항, 물류센터, 공장 등으로 응용 범위를 확장 중이며, 엔비디아의 산업용 시뮬레이션 전략에 맞춰 협력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 크래프톤 – 생성형 AI와 실시간 렌더링 기술 협력
크래프톤은 단순한 게임 개발사가 아닙니다. 최근에는 생성형 AI와 실시간 렌더링 기술을 결합하여, 기존 게임의 한계를 넘어선 몰입형 콘텐츠 구현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엔비디아와의 협력은 핵심 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RTX 시리즈 그래픽카드와 DLSS(딥러닝 기반 초해상도)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크래프톤은 이를 활용하여 AI NPC의 대화 생성, 스토리의 실시간 변경, 상황 기반 행동 학습 등 고도화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내 AI 연구조직인 SAI는 엔비디아의 LLM 인프라와 연동해 게임 내 AI 캐릭터의 자율성과 감정 표현까지 실험하고 있습니다. 향후 이 기술은 크래프톤이 준비 중인 메타버스 플랫폼이나 VR 기반 인터랙션 콘텐츠에도 적용될 예정입니다.
🤖 Nota AI – 엣지 AI 최적화를 위한 기술 파트너
Nota AI는 엔비디아의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인 Inception Program의 핵심 파트너입니다. 이 기업의 강점은 엣지 디바이스용 AI 모델 경량화 기술이며, 이는 실시간성, 에너지 효율성이 중요한 응용 분야에서 엔비디아의 Jetson 플랫폼과 뛰어난 궁합을 자랑합니다.
예를 들어, 교통 감시용 CCTV에 설치되는 AI 모듈은 제한된 전력과 계산 자원을 사용해야 합니다. Nota는 이와 같은 상황에서 YOLO 등 기존 대형 모델을 1/10 수준으로 경량화하여, Jetson Nano나 Xavier와 같은 엔비디아 플랫폼에서 원활히 구동될 수 있도록 최적화합니다. 이는 스마트시티, 산업 안전, 무인점포, 스마트팩토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수요를 창출하며, 이미 국내외 지자체 및 대기업과 다수의 PoC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메디컬IP – AI 의료영상 분석 분야 협력
메디컬IP는 AI와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의료영상을 자동 분석하는 솔루션을 개발하는 헬스케어 전문 기업입니다. 이 회사는 엔비디아의 GPU 연산 성능을 극대화하여, CT, MRI 등의 의료영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폐질환, 심장질환, 암 진단 보조를 가능하게 하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특히 엔비디아의 CUDA 연산 구조를 기반으로 한 딥러닝 모델 학습, TensorRT 기반 추론 최적화 기능을 통해 정확도는 높이고 분석 시간은 줄이는 데 성공했습니다. 팬데믹 기간 중에는 WHO와 협력해 ‘코로나19 폐렴 AI 분석 툴’을 글로벌 시장에 공급했고, 엔비디아는 이를 자사 글로벌 레퍼런스 사례로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현재는 3D 프린팅, 디지털 병리학, 모바일 진단 기기 등으로 기술 범위를 확대하며, 향후 엔비디아의 의료 AI 전략과의 협업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 맺음말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는 모두가 알고 있는 기업입니다. 하지만 엔비디아와 전략적으로 협력하거나, 기술적으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기업은 훨씬 더 다양하고 깊이 있습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모빌테크, 크래프톤, Nota AI, 메디컬IP는 단순한 공급자나 수요자가 아닌, 엔비디아 생태계 안에서 독립적인 가치를 만들어내고 있는 파트너입니다.
이들의 기술, 방향성, 시장 전략을 이해하는 것은 단순한 관심 그 이상입니다. 이는 한국이 글로벌 AI 패권 경쟁에서 어떤 포지션을 차지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며, 나아가 개인 투자자와 기업 전략 담당자 모두에게 중요한 인사이트가 됩니다. 앞으로 이 기업들이 어떤 방식으로 엔비디아와 함께 미래를 만들어갈지, 주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반도체이야기] X-FAB, SPAD 통합을 위한 새로운 절연 클래스 도입으로 180nm XH018 공정 확장
X-FAB, SPAD 통합을 위한 새로운 절연 클래스 도입으로 180nm XH018 공정 확장 새로운 모듈로 보다 컴팩트한 설계 가능, 칩 크기 감소 효과아날로그/혼합 신호 및 특수 공정 분야의 선도적 파운드리인 X
rainbowsemicon.com
[반도체이야기] 엔비디아(NVDA) 관련주는 어떻게 살까?
1. 📈 엔비디아 관련주란 무엇인가?(1) 엔비디아(NVDA) — AI GPU 업계의 대표주자현재 시점(2025년 7월 9일 기준), NVIDIA 주가는 약 162.88달러로 장중 최고 164.37달러를 기록 중입니다NVIDIA Corp (NVDA) 증시
rainbowsemicon.com
[반도체이야기] 한국 팹리스 업계에서 왜 아날로그 설계 엔지니어가 귀할까?
📌 목차아날로그 설계란 무엇인가?디지털 전성시대에도 아날로그가 중요한 이유한국 팹리스 시장의 구조와 현실아날로그 인력의 공급 부족, 왜 생기는가?아날로그 엔지니어가 받는 대우글로
rainbowsemicon.com
'반도체 이야기와 산업트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이야기] 지니틱스 경영권 전쟁, 무엇이 문제인가? (21) | 2025.07.13 |
---|---|
[반도체이야기] 전력반도체에 주목하는 이유: 대한민국이 집중하는 차세대 기술 (25) | 2025.07.13 |
[반도체이야기] X-FAB, SPAD 통합을 위한 새로운 절연 클래스 도입으로 180nm XH018 공정 확장 (28) | 2025.07.12 |
[반도체이야기] 지니틱스 취업 사전 정보 – 시스템 반도체 시장의 숨은 강자 (27) | 2025.07.12 |
[반도체이야기] 오늘은 아나패스 이야기 – 팹리스 강소기업의 매력 (34) | 2025.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