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이 세계 최초로 2나노미터(㎚)급 공정인 18A를 기반으로 양산을 시작하면서 글로벌 반도체 경쟁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이에 따라 한국 반도체 산업의 기술 전략과 공급망 구조, 시스템 반도체 육성 방향 등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2나노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인텔은 지난 9일(현지시간) 미국 애리조나주에서 2나노급 공정인 '18A' 기반 프로세서 ‘팬서 레이크(Panther Lake)’의 양산을 공식 발표했다. 이는 전 세계 주요 반도체 기업 중 최초의 2나노 공정 양산 선언으로, 향후 기술 주도권 확보 경쟁에 중대한 이정표로 평가된다.
인텔은 이번 공정에 ‘게이트 올 어라운드(GAA)’ 구조를 도입하고, 향후에는 ‘후면 전력 공급(BSPDN)’ 및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을 추가 적용할 예정이다. 이는 반도체 성능과 전력 효율, 면적 최적화를 위한 핵심 기술로, 삼성전자와 TSMC의 대응 전략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한국 반도체 산업의 현황
한국 반도체 산업은 오랜 기간 메모리 반도체 부문에서 글로벌 선두를 유지해왔다.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DRAM과 NAND 분야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초격차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그러나 시스템 반도체와 파운드리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2027년까지 2나노 공정(SF2Z) 상용화를 목표로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며, TSMC는 2026년 1.6나노 공정(A16)을 통해 후면 전력 공급을 구현할 계획이다. 이에 비해 인텔은 2025년부터 해당 기술을 도입하는 등 한 발 앞선 행보를 보이고 있다.
반도체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과제
전문가들은 한국 반도체 산업이 기술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 시스템 반도체 육성
메모리 중심에서 벗어나 로직 반도체 및 AI·자동차용 반도체 등 수요 다변화에 대응해야 한다.
이를 위해 팹리스 기업 육성, 설계 툴 지원, 파운드리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 - 소재·부품·장비 자립률 제고
현재 한국의 반도체 소재·장비 의존도는 여전히 높다.
고순도 특수가스, 노광 장비, 패키징 재료 등 핵심 품목의 국산화율을 끌어올려야 공급망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 반도체 인력 양성과 교육 강화
정부는 2030년까지 15만 명의 반도체 인력 양성을 목표로 다양한 교육 정책을 추진 중이다.
반도체 전공 확대, 산학 협력 프로그램 운영, 중소기업 채용 연계 강화가 핵심이다. -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 및 외교 전략 강화
반도체는 기술과 안보가 융합된 산업으로, 미국·일본·EU 등과의 전략적 협력이 중요하다.
소재 수입선 다변화, 기술 제휴 확대, 국제 규제 대응도 병행돼야 한다.
결론
이번 인텔의 2나노 공정 양산 선언은 단순한 기술 진보를 넘어, 글로벌 반도체 패권 경쟁의 향방을 가늠할 수 있는 사건으로 평가된다.
한국 반도체 산업이 기존 메모리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시스템 반도체와 첨단 공정 기술에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초격차 전략’이 지속 가능하려면 기술력뿐 아니라 생태계, 인재, 외교까지 전방위적인 대응이 필수적이다.
[반도체이야기] 중국의 좀비 팹, 그 실체와 반도체 산업의 그림자
중국 반도체 산업의 야심, 그리고 그 이면중국은 지난 10여 년간 '반도체 자립'이라는 국가적 목표 아래 막대한 자금을 투자해 왔습니다. 미국의 기술 규제와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속에서, 자국
rainbowsemicon.com
[반도체이야기] 미국 반도체 기업 Top 5와 한국의 협업 기회
세계 반도체 산업은 미국과 아시아 국가들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미국은 설계, 장비, IP(지식재산권) 분야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어요. 오늘은 미국 반도체 기업 Top 5를 살
rainbowsemicon.com
[반도체이야기] 군수용 이미지센서의 종류와 제조사 동향 — SWIR, MWIR, LWIR
군수 분야에서 이미지센서는 단순한 ‘카메라 부품’이 아닙니다.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목표물을 탐지·추적하며, 야간·악천후 환경에서도 작전 성공률을 높이는 핵심 장비입니다
rainbowsemicon.com
'반도체 이야기와 산업트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이야기] 중국의 반도체 굴기, 미국의 견제… 그 사이에 낀 한국 반도체의 미래는? (4) | 2025.10.09 |
---|---|
[반도체이야기] 중국의 좀비 팹, 그 실체와 반도체 산업의 그림자 (32) | 2025.09.01 |
[중국산업이야기] 중국, 순수 전기차 대신 하이브리드로 급선회한 이유 (17) | 2025.08.20 |
[반도체이야기] 미국 반도체 기업 Top 5와 한국의 협업 기회 (24) | 2025.08.19 |
[반도체이야기] 국산화에서 가성비로, 반도체 조달 전략의 변화 (24) | 2025.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