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반도체40

[반도체이야기] 군수용 이미지센서의 종류와 제조사 동향 — SWIR, MWIR, LWIR 군수 분야에서 이미지센서는 단순한 ‘카메라 부품’이 아닙니다.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목표물을 탐지·추적하며, 야간·악천후 환경에서도 작전 성공률을 높이는 핵심 장비입니다.그 중에서도 SWIR(Short-Wave Infrared), MWIR(Mid-Wave Infrared), LWIR(Long-Wave Infrared) 센서는 각각 다른 파장 영역을 담당하며 군사 작전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1. SWIR 이미지센서 — 단거리·악천후 관측의 강자SWIR 이미지센서는 0.9~1.7µm 파장대의 빛을 감지합니다.이 파장대는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안개·연기·박무를 관통할 수 있어 레이저 거리 측정기, 표적 식별, 야간 감시에 적합합니다.군사적으로는 드론 정찰, 특수부대 작전, 미사일 유도에.. 2025. 8. 12.
[반도체이야기] 삼성, 애플과 동맹, 그리고 미국 현지화 안녕하세요! 오늘은 삼성이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 CIS(이미지센서) 생산 라인을 새로 설치했다는 아주 흥미로운 소식을 전해드리려고 해요. 이번 투자와 3단 적층 이미지센서, 그리고 애플 미국 현지화 전략이 어떻게 맞물렸는지, 기사 형식으로 차근차근 정리해 볼게요.1. 삼성, 텍사스에 이미지센서(CIS) 라인…미국 첫 사례최근 삼성전자가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 첫 CIS 생산 라인을 조성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들려왔어요. 바로 3단 적층 이미지센서 생산이 가능한 팹 일부 시설을 S1 파운드리로부터 전환하는 방안이에요. 이로써 삼성 미국 텍사스 CIS 생산이 현실로 다가왔습니다.2. 3단 적층 이미지센서란? CIS 기술의 혁신그럼, **3단 적층 이미지센서(CIS)**가 뭐냐면요, 두께나 사이즈를 줄이면서도 성.. 2025. 8. 7.
[반도체이야기] 중국의 EUV 기술 자립과 사이버 공격, 기술패권 전쟁의 시작인가? EUV 기술, 반도체 사이버 보안, 중국 반도체 자립이라는 키워드는 요즘 반도체 업계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입니다. 단순히 기술의 경쟁을 넘어서, 이젠 국가 안보와 사이버 전쟁의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의 EUV 장비 국산화 시도와 함께, 대만 반도체 기업을 겨냥한 사이버 공격이 증가하면서 글로벌 반도체 생태계가 크게 요동치고 있습니다.중국, ASML 대체 가능한 EUV 장비 만들 수 있을까?EUV(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는 7nm 이하 초미세공정을 구현하는 핵심 장비입니다. 현재 이 기술을 상용화한 기업은 네덜란드의 ASML이 유일하죠. 중국은 수년 전부터 EUV 장비 국산화를 추진 중이지만, 여전히 광원 기술, 반사경 코팅, 고진공 환경 유지 등 기술 장.. 2025. 7. 23.
[반도체이야기] 지니틱스 경영권 전쟁, 무엇이 문제인가? 최근 국내 팹리스 반도체 기업인 지니틱스를 둘러싼 "지니틱스 경영권 전쟁"이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단순한 내부 갈등을 넘어, 지분 구조, 기술 유출 의혹, 국가핵심기술 지정 논의까지 얽히면서 사건은 점차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중국계 기업 헤일로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Halo Microelectronics)의 지분 인수 이후, 경영 주도권을 둘러싼 대립은 더욱 첨예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지니틱스 경영권 전쟁은 단순한 기업 인수 이슈가 아닌, 국내 기술 보호와 외국 자본의 경영 개입이라는 사회적 쟁점으로 부상했다.최대주주 변경과 중국계 자본 등장지니틱스 경영권 전쟁의 시발점은 헤일로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의 등장이다. 2024년 하반기, 헤일로는 약 210억 원을 들여 지니틱스 지분 30.. 2025. 7. 13.
[반도체이야기] 엔비디아와 협력할 한국기업은 어디? AI 반도체 강자 **엔비디아(NVIDIA)**는 전 세계 기술 생태계를 이끄는 중심 기업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삼성전자·SK하이닉스를 넘어,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엔비디아와 전략적 협력 관계를 맺거나 높은 협업 가능성을 가지고 있죠. 지금부터 네이버 클라우드, 모빌테크, 크래프톤, Nota AI, 메디컬IP 등의 기업과 엔비디아 간 협력 사례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 주권 AI 구축을 위한 전략 파트너네이버 클라우드는 엔비디아와 협력하여 ‘주권 AI(Sovereign AI)’ 인프라를 구축 중입니다. 2025년 GTC 행사에서 정식 발표된 이 제휴는 단순 GPU 도입을 넘어서, 한국에 최적화된 클라우드 AI 플랫폼 구성을 목표로 합니다. 네이버의 대규모 한국어 모델.. 2025. 7. 13.
[반도체이야기] 전력반도체에 주목하는 이유: 대한민국이 집중하는 차세대 기술 오늘은 우리나라 대한민국이 미래 먹거리로 집중하고 있는 전력반도체에 대해 집중 탐구해보려 합니다. 왜 많은 전문가와 기업, 정부가 전력반도체에 주목하는지, 그 기술이 어떤 변화와 기회를 만들어 내는지, 그리고 저와 여러분이 왜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 차근차근 풀어보겠습니다.전력반도체란 무엇인가?전력반도체는 전기를 제어하고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로,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제품·산업용 장비·전기차 등에 필수적입니다. 일반적인 디지털 반도체가 연산이나 저장에 집중한다면, 전력반도체는 ‘전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는 게 핵심이죠. 전력반도체는 전압·전류를 높은 효율로 바꾸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온실가스 저감에도 기여합니다.대한민국이 전력반도체에 집중하는 이유에너지 효율과 ESG 시대의 요구가.. 2025. 7.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