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이후, 어디가 다음 대박일까?”
메리츠증권 리서치센터의 ‘글로벌 주식투자 빅 시프트’ 보고서에 따르면, AI 반도체 중심으로 수익형 투자 전략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엔비디아 같은 기업을 따라가기보다, 수익형 구조를 갖춘 다음 주식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죠
이제 막 투자자들이 성숙해지며, 해외와 국내를 나누는 구분 대신 넥스트 엔비디아 같은 고수익형 주식을 찾기 시작했어요. 왜 지금이 바로 수익형 주식에 주목할 타이밍일까요? 첫째, AI 관련 산업의 밸류체인이 빠르게 변화 중이고, 둘째, 엔비디아 의존도를 낮추려는 글로벌 수요 확대 덕분에 다양한 기업이 기회를 얻고 있어요.
오늘은 엔비디아 다음 수익형 주식 후보 3가지를 장점과 전망 중심으로 정리해볼게요!
① 브로드컴 (Broadcom) – AI 커스텀 칩의 핵심 수익형 주식
강점 및 전망
- 글로벌 기술 기업들이 엔비디아 의존을 줄이려 커스텀 AI 칩에 눈을 돌리고 있어요.
- 브로드컴은 구글 TPU, 아마존 데이터센터 등에 공급하며 AI 컴퓨트 매출이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 모건스탠리는 브로드컴이 2030년까지 **AI 칩 시장의 약 15%**를 점유할 수 있다고 예측하고 있어요 .
- 비교적 저평가된 밸류에이션 대비 수익형 구조가 단단하다는 점이 매력입니다.
요약하자면, 브로드컴은 엔비디아 이후에도 수익형 주식으로 기대되는 기업입니다.
② 마벨 테크놀로지 (Marvell Technology) – 데이터센터 성장 주도 수익형 주식
강점 및 전망
- 아마존, 엑사이(OpenAI) 등과 협력하며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AI 칩 수요 증가에 부합하고 있어요.
- 전년 대비 데이터센터 매출이 76% 성장하는 등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넓히고 있어요 .
- 상대적으로 낮은 밸류에이션과 높은 성장률로 수익형 주식으로 적합한 매력적인 포지션입니다.
③ AMD 또는 ASML – AI 밸류체인 확장 주도형 수익형 주식
AMD (Advanced Micro Devices)
- AI 가속기 MI350, 미래 MI400/MI500 라인업은 엔비디아에 대항할 경쟁력으로 부상 중입니다.
ASML
- 첨단 EUV 리소그래피 장비의 핵심 업체로, AI 칩 수요 폭발에 따른 주문 폭주 상태이며 €390억 backlog가 형성되어 있어요 .
두 회사 모두 AI 생태계에서 핵심 인프라를 담당하며 수익형 기업으로서 안정적 수익을 낼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왜 지금 ‘수익형 주식’을 주목해야 할까?
- 밸류체인의 변화
글로벌 AI 관련 밸류체인이 엔비디아 중심에서 분산형 구조로 발전 중. 브로드컴, 마벨, AMD, ASML 등은 구조적인 수익 확보가 가능한 위치에 있어요. - 시장 과열 대비 리스크 분산
엔비디아 주가 상승세는 강하지만, 고밸류에이션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여기서 수익형 종목들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며, AI 인프라 확장에 동반 성장할 수 있어요 - 메리츠 ‘빅 시프트’ 전략 지향
해당 보고서는 AI·모빌리티·우주·원자력 등 16개 핵심 산업을 분석하며, 단순 성장주보다 수익형 구조의 기업을 추천한다는 메시지를 주고 있어요 .
🎯 수익형 주식 3종 비교표
종목 투자 포인트 수익형 장점
브로드컴 (Broadcom) | 커스텀 AI 칩 수요 확대 | 안정적 B2B 매출 기반, AI 시장 점유율 확대 |
마벨 테크놀로지 (Marvell) |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확장 | 신규 고객 확보 중, 빠른 매출 성장이 수익형 구조로 이어짐 |
AMD / ASML | AI 하드웨어 인프라 핵심 기업 | AMD는 AI 가속기, ASML은 반도체 장비 독점 포지션 |
✅ 마무리: 엔비디아 이후 수익형 주식을 고민해야 할 이유
- 엔비디아는 AI 혁신의 중심이지만, 높은 밸류에이션 리스크도 병존합니다.
- 브로드컴, 마벨, AMD, ASML 등은 역시 AI 시대의 핵심 역할을 맡으면서도 안정적인 수익형 주식으로서 장기 투자 매력도가 높아요.
- 특히 수익형 주식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고성장과 안정성을 동시에 노릴 수 있습니다.
🚀 정리하며 한 줄 요약
수익형 주식으로 주목할 만한 엔비디아 다음 주식 후보는 브로드컴, 마벨, AMD/ASML.
이들은 AI 밸류체인 확장에 발맞춘 수익형 구조를 갖추었고, 성장과 안정성 조합이 가능한 기업입니다.
[반도체이야기] STMicroelectronics 와 Metalenz, 메타표면 옵틱스 대중화에 박차를 가하다
'메타표면 옵틱스(Metasurface Optics)'라는 단어를 들으면 마치 공상과학 이야기처럼 들릴지도 모르겠어요. 하지만 이 기술은 이미 우리 일상 속 깊숙이 들어와 있습니다. 스마트폰의 얼굴 인식, 자
rainbowsemicon.com
[반도체이야기] Infineon Technologies – 전력과 보안을 지배하는 반도체 제국
Infineon Technologies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전력'과 '보안'이라는 두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하고 있는 기업이다. 독일 뮌헨에 본사를 두고 있는 Infineon은 원래 Siemens(지멘스
rainbowsemicon.com
[반도체이야기] 중국의 EUV 기술 자립과 사이버 공격, 기술패권 전쟁의 시작인가?
EUV 기술, 반도체 사이버 보안, 중국 반도체 자립이라는 키워드는 요즘 반도체 업계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입니다. 단순히 기술의 경쟁을 넘어서, 이젠 국가 안보와 사이버 전쟁의 영역으로 확장
rainbowsemicon.com
'반도체 이야기와 산업트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 전기차 가격 전쟁, 드디어 칼 뽑았다" - 중국 정부의 가격법 개정이 의미하는 것 (21) | 2025.07.27 |
---|---|
[반도체이야기] STMicroelectronics 와 Metalenz, 메타표면 옵틱스 대중화에 박차를 가하다 (16) | 2025.07.27 |
[반도체이야기] Infineon Technologies – 전력과 보안을 지배하는 반도체 제국 (20) | 2025.07.23 |
[반도체이야기] 중국의 EUV 기술 자립과 사이버 공격, 기술패권 전쟁의 시작인가? (11) | 2025.07.23 |
[산업이야기] 중국 전기차, 재고 위기가 아닌 전략적 전환점 (30) | 2025.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