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 산업, 테크

[반도체이야기] IR receiver 반도체, 적외선 신호의 핵심 기술을 파헤치다

by Rainbow Semicon 2025. 7. 4.

반응형

 

IR receiver 반도체

1. IR receiver 반도체의 핵심 구조: PIN 다이오드 + 프리앰프 + 필터

PIN 포토다이오드

  • PN 접합형 포토다이오드에 역바이어스를 걸어 동작합니다.
  • 입사되는 광자가 전자–정공 쌍을 생성하고, 전기장에 의해 전류로 변환됩니다.
  • 최대 감도를 위해 접합 깊이를 얕게 설계하고, 넓은 영역으로 광 집광을 극대화합니다.

프리앰프 및 AGC 회로

  • 수신되는 미약한 전류를 전류→전압 트랜스임피던스 앰프로 증폭합니다.
  • AGC(자동 이득 제어) 회로가 내장되어 있어 주변광이나 전자파 간섭이 들어올 때 증폭 레벨을 자동으로 조정합니다.

밴드패스 & IR 필터

  • 외부 광(형광등, 태양광 등)으로부터 오는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해 주파수 필터와 IR 패시브 필터를 내장합니다.
  • 일부 제품은 패키지 자체가 특정 대역 IR만 통과하도록 설계됩니다.

2. 신호 처리 과정: 검파 + 디지털 출력

IR receiver 반도체는 단순히 빛을 수신하는 것을 넘어 복조 기능까지 수행합니다.

  • 적외선 LED는 보통 38kHz 등 특정 주파수로 송신되고, 수신부에서는 이 신호를 검파하여 디지털 비트 신호로 복조합니다.
  • AGC와 밴드패스 필터가 함께 작동해 연속된 IR 패킷을 인식하고,
    마이크로컨트롤러가 바로 처리할 수 있는 Active Low 디지털 신호로 출력합니다.

 

3. 전력·잡음·내광 특성 최적화

저전력 설계

  • 동작 전류는 약 0.9 mA 수준으로, 배터리 기반 IoT 기기에서 효율적입니다.
  • 전압 범위는 2.5~5.5 V로 폭넓게 지원됩니다.

🌘 노이즈·내광성 강화

  • 형광등, 태양광, Wi-Fi 등 고주파 노이즈를 AGC와 필터링 기술로 효과적으로 차단합니다.
  • 일부 제품은 전자파 차단 기능이 추가되어 EMI(전자파 간섭)에 강한 특성을 가집니다.

IR reveiver 의 활용

4. 성능 지표 요약

  • 수광각(Field of View): ±45°로, 원거리 수신 가능
  • AGC variants: 노이즈 억제 수준에 따라 다양한 버전 제공
  • 동작 온도: -25℃ ~ +85℃ 환경에서도 안정적 동작

5. 최신 핵심 기술 트렌드

  • 자동 이득 제어(AGC) 기술
    → 다양한 주변광 조건에서도 수신 감도를 유지하며 간섭을 줄입니다.
  • 집적형 모듈화 설계
    → 포토다이오드, 증폭기, 필터, 복조기를 단일 패키지로 통합하여 크기를 줄이고 안정성을 높입니다.
  • 초저전력 회로 설계
    → 저전력 동작으로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고, 웨어러블 기기 등에도 적합합니다.

 

6. 요약 및 핵심 정리

핵심 블록 기술 요소 주요 역할

PIN 다이오드 역바이어스, 넓은 수광면, 얕은 접합 광자→전류 변환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 전류→전압 증폭 신호 증폭
AGC 회로 자동 이득 조절 노이즈 억제, 감도 유지
필터 밴드패스 + IR 필터 외부광 차단
검파 회로 캐리어 제거 디지털 비트 생성
디지털 출력 Active Low MCU 입력 대응

이러한 기술들이 결합되어 IR receiver 반도체는 신뢰도 높은 적외선 수신 성능을 제공하며, 전자제품 설계 시 복잡한 외부 회로 없이도 디지털 제어가 가능하게 됩니다.

 

 

 

[반도체이야기] 소테리아 ~ 대한민국 유일의 AI 반도체 양산 기술 선도

소테리아(Soteria)는 AI ASIC, HPC 가속기, 초저전력 설계, Near‑Data Processing(NDP) 등 반도체 분야 최첨단 기술을 결합한 국내 유일의 AI 양산 특화 팹리스 스타트업입니다. 2018년 조지아공대 출신의 김종

rainbowsemicon.com

 

 

[반도체이야기] Alternator Voltage Regulator란? 무엇을 조절하는 기기일까?

자동차 전기 시스템의 핵심인 Alternator Voltage Regulator는 말 그대로 발전기에서 나오는 전압을 조절해 주는 장치입니다. Alternator 자체는 엔진 회전수에 따라 전기를 생산하고, 이 전기를 배터리와

rainbowsemicon.com

 

 

[반도체이야기] 중국의 EDA 어디까지인가: 중국산 EDA 도구의 현황과 전략

최근 중국의 EDA 어디까지인가라는 화두가 뜨겁습니다. 미국이 시놉시스, 케이던스, 지멘스 등 주요 EDA(전자설계자동화) 툴 공급에 규제를 강화하면서, 중국은 자국형 EDA 생태계를 급속히 확대하

rainbowsemicon.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