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 이야기와 산업트랜드

[반도체이야기] Nexperia 수출통제 사태로 본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균열

by Rainbow Semicon 2025. 10. 17.

반응형

Nexperia 수출통제 사태

최근 글로벌 반도체 업계에 또 하나의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미국 정부가 중국 **Wingtech(윙텍)**을 수출통제 리스트에 올리면서, 그 자회사인 **Nexperia(넥스페리아)**까지 여파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사태는 단순히 한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중국-유럽 간 반도체 패권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Nexperia, 미중 갈등의 한복판에 서다

Wingtech은 중국의 대표적인 전자 제조 그룹으로, 2021년 네덜란드 반도체 기업 Nexperia를 인수했다.
하지만 이번에 미국이 Wingtech을 수출통제 명단에 올리면서,
Nexperia도 ‘안보 리스크 기업’으로 분류되는 상황에 놓였다.

미국 측은 “Nexperia가 직접 제재 대상은 아니지만,
자회사라도 적용 예외를 받으려면 경영진 교체 등 구조 조정이 필요하다”고 압박했다.
이에 따라 네덜란드 정부와 상공회의소는 중국인 CEO 교체 및 자산 동결 조치를 단행했으며,
이 과정에서 중국 측 주주의 의결권 박탈로까지 번지며 양국 간 분쟁이 격화되고 있다.


🚫 중국 내 수출 전면 중단…글로벌 생산망 차질 우려

현재 Nexperia가 중국 내에서 생산 중인 일부 Logic IC 제품들은
중국 정부의 지시에 따라 중국 밖으로의 수출이 전면 통제되고 있다.
특히 Logic 제품군의 80% 이상이 중국 내에서 패키징(Ass’y) 공정을 거치고 있어,
전 세계 공급망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홍콩 물류센터의 재고 출고도 중단되며,
글로벌 유통망을 통한 제품 추가 공급이 어려워진 상황이다.
결국 유럽과 아시아의 여러 전자 제조사들이 Nexperia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솔루션을 찾고 있다.


🌐 업계 반응: 공급망 리스크 최소화가 최우선 과제

해외 주요 완성차 및 가전 OEM들은 이미 사내 검토를 통해 “중국 지분이 높은 반도체 기업의 부품 사용을 점진적으로 축소하겠다”는 방향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단기적인 가격 문제보다 지정학적 리스크 관리를 우선시하는 움직임으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일부 전자기업들은 대체 공급선 발굴 및 로직 IC, MOSFET, 트랜지스터 등의 재인증 절차를 병행하고 있다.
특히 패키징 단계에서 중국 의존도가 높은 제품들은 비중국권 생산라인(유럽, 동남아, 대만 등)으로 전환을 검토 중이다.


🔮 향후 전망: ‘Nexperia 사태’는 반도체 공급망의 시험대

이번 사태는 단순히 한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구조의 취약성을 드러낸 사례로 평가된다.
생산 거점이 중국에 집중된 Nexperia의 현실은, 지정학적 변화가 얼마나 빠르게 실질적인 공급 차질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중장기적으로는

  • 비중국권 패키징·테스트 라인의 확대,
  • 대체 로직 IC 업체들의 시장 진입 가속화,
  • 유럽 내 반도체 자립 전략 강화
    등이 가시화될 가능성이 높다.

✍️ 마무리: ‘공급 안정성’이 곧 경쟁력이다

이번 Nexperia 사태는 반도체 업계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기술력만큼 중요한 것은 공급의 안정성과 정치적 중립성이다.
누가 빠르게 대체 공급망을 구축하고, 누가 더 유연하게 리스크를 관리하느냐가 향후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판도를 바꿀 것이다.

 

 

 

[중국자동차이야기] BYD 양왕(Yangwang) U9, “세계 최고속”을 새로 쓰다

“속도”의 주도권이 바뀌는 날유럽 고속주행 트랙의 전광판에 ‘496.22’라는 숫자가 찍힌 순간, 전기 하이퍼카는 더 이상 ‘다음 시대의 약속’이 아니라 지금, 여기의 현실이 되었습니다. BYD

rainbowsemicon.com

 

 

[반도체이야기] 하늘 위를 읽는 눈, 드론과 반도체 기술이 그리는 새로운 전장

한때 취미용 장난감으로 여겨졌던 드론은, 이제 기술의 최전선에서 움직이는 ‘전장의 눈’이 되었다. 단순히 날아다니는 기계가 아니라, 정찰하고 감시하고, 심지어 타격까지 수행하는 다기능

rainbowsemicon.com

 

 

2나노 경쟁’ 본격화…한국 반도체, 기술 초격차 전략 시급

인텔이 세계 최초로 2나노미터(㎚)급 공정인 18A를 기반으로 양산을 시작하면서 글로벌 반도체 경쟁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이에 따라 한국 반도체 산업의 기술 전략과 공급망 구조, 시스

rainbowsemicon.com

 

 

[반도체이야기] 중국의 좀비 팹, 그 실체와 반도체 산업의 그림자

중국 반도체 산업의 야심, 그리고 그 이면중국은 지난 10여 년간 '반도체 자립'이라는 국가적 목표 아래 막대한 자금을 투자해 왔습니다. 미국의 기술 규제와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속에서, 자국

rainbowsemicon.com

 

반응형